마이크론이 12월1일에 FQ1(9~11월) 실적 가이던스를 매출, 매출총이익률, EPS 측면에서 상향 조정했다. 이틀 뒤인 12월3일에 마이크론의 대만 이노테라 생산설비에서 정전이 발생했는데 그후 마이크론의 가이던스 조정이나 정전관련 발표는 없다. 가이던스 상향 조정에 해당하는 분기(9~11월)에 웨이퍼 출하는 마무리된 상황에서 정전이 발생했기 때문에 9~11월 실적에 영향이 없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한다.
마이크론의 대만 이노테라 제조설비 정전 이후 시장조사기관 DRAMeXchange는 활발하게 현황 업데이트를 진행하고 있다. 가장 마지막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제품별로 서버 DRAM 공급에 영향이 있어 공급 부족이 우려되는 상황. 마이크론 대만 이노테라 제조설비는 90% 이상 복구돼 며칠 내로 정상 가동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전, 화재, 지진이 발생하면 제조설비 내에 웨이퍼의 스크랩 규모가 생산에 영향을 미친다. DRAMeXchange의 발표에 따르면 초기에 스크랩 규모는 2,000장 (2K) 수준으로 월간 생산능력(125K/월)의 1.6% 수준이다. 숫자로만 보면 규모가 제한적이다. 그러나 정전 사건 이후에 PC DRAM 현물시장에서 즉각적인 반등이 나타나고, 내년 1분기(1Q21) 32GB 기준 서버 DRAM 계약가격이 110달러에서 115달러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그 이유는 1분기 DRAM 계약가격에 관한 협상이 한창 진행되고 있을 때 공교롭게 정전 사태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가격 협상의 주도권이 수요처에서 공급사로 넘어간 듯하다.
마치 저녁 늦게 집으로 가는 길에 카네이션을 사러 갔더니 공교롭게 꽃집 사장님이 9시에 불 끄고 문 닫아야 된다고 외치는 상황과 유사하다. 따라서 이번 정전 사건은 DRAM 수급 개선과 업황 턴어라운드 시점을 앞당긴 셈이다.
이러한 와중에 DRAM 공급사 SK하이닉스, Micron, Nanya Technology의 주가는 상승추세다. 올해 12월 초 이후 5영업일 기준 주가 상승률은 SK하이닉스 +21.03%, Micron +13.29%, Nanya Technology +21.96%이다. 놀라운 점은 NAND 공급사의 주가도 동반 상승했다는 점이다. 같은 기간에 Western Digital +13.95%, Silicon Motion
Technology ADR +14.42%로 아쉽지 않은 주가 흐름을 기록했다.
NAND 업종에서는 공급 과잉을 해소할 만한 이벤트는 아직까지는 없다. 다만, 수급 측면에서 병목 현상이었던 화웨이 관련 제재가 일부 완화되었다. DRAMeXchange의 발표에 따르면, NAND 공급사 중에서 Intel에 이어 Kioxia가 12월 초에 미국 상무부로부터 화웨이향 제품 출하에 관한 허가를 취득했다. 출하 가능한 제품은 5G 스마트폰과 기지국 통신장비용을 포함하지않았기 때문에 제한적 허가다. 인텔은 Kioxia보다 먼저 허가를 취득했는데 클라이언트 및 엔터프라이즈용 SSD로 제한돼 있다. 이러한 신호를 미중 무역갈등의 완화로 해석하기에는 이르다고 판단된다.
미중 무역 갈등은 현재진행형이다. 화웨이향 DRAM과 관련해서는 아직 미국 상무부로부터 제품 출하에 관한 허가를 취득한 기업이 없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별도로 12월 8일에 미국 공화당의 Marco Rubio와 민주당의 Jim McGovern 의원이 Intel과 Nvidia에 서한을 보냈다. Intel과 Nvidia의 중국향 칩 출하에 관해 묻는 내용이다. 로이터의 보도 내용으로 미루어 보면 중국향으로 출하된 칩들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 감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인지 관련성을 확인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반도체 업종 내에서 미중 무역 갈등은 2020년 기조에서 크게 바뀐 것이 없다. 반도체 서플라이 체인에서 제조설비의 탈중국화(Out-of-china) 현상, 공급부족, 인플레이션(가격 상승)이 이어지는 분야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