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우크라이나 재건 업데이트: 아직 금융 및 장비지원 중심
우리나라의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 현황
지난 9월 G20에서 23억달러 지원(24년 3억달러, 20억불 중장기 지원패키지)을 통해 우크라이나 재건을 돕겠다고 발표한 이후, 우크라이나 재건 협력 대표단을 구성해서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방문했었다. 공여협정을 정식으로 체결하고, 6대 선도 프로젝트(키이우 교통 마스터플랜, 우만시 스마트시티 마스터플랜, 보리스필 공항 현대화, 부차시 하수처리시설, 카호우카댐 재건지원, 키이우-폴란드간 철도노선 고속화)를 논의했다. 10월에도 서울로 초청하여 6대 선도 프로젝트외 재생 에너지, 자원 개발 관련 프로젝트도 언급되었다. 특히 젤렌스키 대통령이 제안한 리튬 개발 등 자원개발 협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우크라이나 재건을 위한 현황: 전쟁으로 인해 물자 및 자금 조달 수준
우크라이나의 재정상황으로는 복구가 불가능하며(약 4,000억달러 추산, GDP 2.6배), 인프라부문에서만 920억달러가 필요하다. 전체 지역의 26%가 피해를 입은 상황이다. 건축자재(특히 시멘트, PVC, 미네랄울, 콘크리트, 유리 등)가 매우 모자란 상황이며, 전쟁으로 인해 노동인력도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현재 각 정부가 할 수 있는 지원은 자금과 장비 조달 정도다. 세계은행도 신탁기금으로 통합하여 금융 지원을 준비하고, 모듈형 교랑, 에너지부문 장비 등을 조달하고 있다. 옆나라 폴란드도 재건사업에 관심이 많은 상황인데, 물류와 수송 및 금융조달에 대한 내용이 주축이다. 우리나라는 EDCF 기금으로 25년부터 20억달러 지원 예정으로, 장비(ESS, 굴삭기, 덤프트럭 등) 지원을 검토 중이다. 전후 토목과 건축은 안전 보장이 필수여서, 계획에 대한 논의만 진행 중인 상황이다.
국내 기업의 애로사항: 접근성, 안전성, 수익성
한국 기업은 현지 법인과 같은 접근성이 없고, 우크라이나는 여행 금지 국가로 자유로운 이동 또한 불가하다. 결국 국영기업과의 파트너쉽 구축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한 기업 투자 리스크 해소 방안도 요구된다. 다만, 인도주의적 성격이 강한 재건사업 특성상 수익성이 높지 않을 수 있다는 리스크도 존재한다. 그리고 공사는 안전 보장이 필수인 상황으로 전쟁 종료가 선제적이다.